안녕하세요 뮤직가이드이에요. 오늘은 세금과 관련해서 안내해 드려보도록할겁니다 재산을 물려받는 경우 세금은 2가지로 나누어지게 되어있을거에요. 바로 상속세와 증여세이에요 오늘은 토지 상속세 계산기에 대해 안내해드리도록 할겁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율이 굉장히 높은 편이라고 하더라고요
세계 최고수준의 세율이라고 하는 자료가 있었는데 재산이 많다면 최대 50%까지도 세금으로 납부를 하여야한다고하더라고요. 예를 들어 100억대 재산이라면 50억은 국가에 납부하여야하는것인데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토지에 관련된 상속세를 간편하게 알아보시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보도록 할텐데요. 상속을 받으실때 빈번하게 받게 되시는게 집안의 토지, 땅일겁니다. 이때 세금이 궁금하게될 분들 많을건데요. 간편하게 공제금액과 비과세 여부를 확인해보시는 방법으로 안내를 해 보도록할겁니다.
오늘 서비스를 이용해 드려 볼 사이트는 바로 부동산114라는 사이트인데요. 이 사이트를 통해서 상속 받는 가족관계에 따라서 공제금액을 미리 계산할 수가 있으십니다. 공제 금액이 기본 억단위이기때문에 비과세 되는경우가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요기를 눌러주시고 상속세로 이동을 해 주세요
그러면 위에 보시는것과 같이 이러한 방법으로 토지 상속세 계산기가 나오게 될텐데요. 이 화면에서 가족관계 정보를 입력을 해보면 되겠습니다. 가족관계에 따라서 공제금액이 크게 다르게 될 수가 있답니다 상속재산이 크지 않다면 사실 공제금액 범위 안에서 모두 비과세 될 때가 많아요 그러니 공제금액 계산을 위해 최대한 자세하게 입력하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그러면 입력한 자료를 바탕으로 토지의 상속세에 대한 공제내역이 나오게 되어지는데요. 와이프가 있다면 기본 5억원이 공제가 되어질거에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2억이 공제가 되어지고, 자녀의수에 따라서 또 공제금액이 추가가 되어질거에요. 임의로 와이프와 자녀가 있는 상태라고 하였을때 약 8억2천만원 정도가 공제가 되어지는데요. 그러니 토지 가격이 이 이상이라면 그에 따라서만 세율에 의하여서 계산이 되어지죠. 이번 올려드린 토지 상속세 계산기 이용하시고나서 정확히 확인해보시기바랍니다